서버 자바스크립트 부분을 공부하던 중, fs 모듈을 추출하여 readFileSync 메서드로 동기적인 파일 읽어들이기 실습을 해보았다. 같은 폴더 내에는 textfile.txt라는 파일과, A.js 라는 파일이 있다. 먼저 모듈을 추출하고 파일을 읽어들인 뒤 출력해본다. 동일 폴더 내에 있으니 텍스트 파일명만 입력해준다. 1 2 3 4 5 6 7 8 9 // fs.readFileSync() 메서드 - 동기적으로 파일 읽어 들이기 // 모듈 추출 const fs = require('fs'); // 파일을 읽어 들이고 출력 const file = fs.readFileSync('textfile.txt'); console.log(file); console.log(file.toString()); cs 웬걸? 잘 ..
앞선 포스팅에서 선형 회귀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았다. 이번에는 경사 하강법에 대해 쉬운 소개를 해보려고 한다. 1. 경사 하강법이란(Gradient Descent) 위와 같은 그래프에서 오차가 제일 적은 지점은 a = m일 때이다. 아래로 볼록한 함수의 가장 아랫 부분을 찾는 것이다. a가 m에서 멀어질 수록 오차는 커진다. 즉, m과 같은 a(기울기)를 찾았을 때 오차가 최소화 된다는 개념이다. 이 m을 찾아가는 과정을 위 그래프와 같이 경사를 하강시키며 (m에 수렴시키며) 적합한 a를 찾는 과정을 경사하강법이라고 한다. 처음 그래프를 보면 잘 이해가 안될 수 있는데, 우리는 이차함수 그래프 중 y=ax+b인 그래프에만 익숙하기 때문이다. 그래서 이를 x에 대하여 미분한 값인 a를 기울기라고 칭해왔다...
순환기법을 이용하여 작성한다. sum(3) 은 1부터 3까지의 합이므로 sum(3) = 3 + sum(2)와 같다.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#include int sum(int num); int main(void) { int num; printf("정수를 입력하시오 : "); scanf_s("%d", &num); printf("1부터 %d까지의 합 : %d\n", num, sum(num)); return 0; } int sum(int num) { if (num == 0) return 0; else if (num > 0) return num + sum(num - 1); } cs - 설명 int sum(int num) 함수에서, num..
get_dice_face() 함수에 정적 지역 변수를 이용하여 각 면이 나온 횟수를 기억하게 하라. get_dice_face() 함수의 호출 횟수가 100이 되면 각 면의 횟수를 출력한다.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#include #include #include void get_dice_face(); int main(void) { int i = 0; srand((unsigned)time(NULL)); for (i = 0; i
돈만 생기면 저금하는 사람을 가정하여, save(int amount)를 작성한다. 이 함수는 저금할 금액인 amount를 받아 save(100)과 같이 호출된다. save()는 정적 변수를 사용하여 현재까지 저축된 총액을 기억한다. amount가 음수이면 출금이다.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#include void save(int amount); int main(void) { printf(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\n"); printf("\t입금\t 출금\t 잔고\n"); printf(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..
- Thanks for comming.
- 오늘은
- 명이 방문했어요
- 어제는
- 명이 방문했어요